Five Eyes 동맹국과 한국의 군 여성인력 활용 정책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Military Women Personnel Policies in Five Eyes Alliance Countries and South Korea
저자
김인찬, 홍명숙, 김종훈, 장세진
수록페이지
p.1-8 (8pages)
조회수
7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78 , (Online)3022-6643
- 수록권호
- 제2권 1호 (통권 5호)
- 발행일
- 2025.01
- 수록논문
- 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1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5 volumes
- 총 논문 수
- 35 articles

키워드
군 여성인력, Five Eyes 동맹, 국방정책, 성평등, 조직문화 개선Military women personnel, Five Eyes Alliance, Defense policy, Gender equality, Organizational culture reform
초록
본 연구는 Five Eyes 동맹국(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과 한국의 군 여성인력 활용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국의 여군 비율, 주요 정책, 성과 및 지속적인 과제를 검토하였으며, 특히 여성의 역할 확대, 근무 여건 개선, 조직문화 변화 등의 측면에서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Five Eyes 국가들은 모든 군사 직위를 여성에게 개방하고, 적극적인 모집 전략과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여 성의 군 참여를 확대해왔다. 이들 국가의 여군 비율은 11-17% 수준에 이르렀으며, 고위직 진출 사례 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여군 비율 증가(2021년 기준 8.8%)와 직역 확대 등 상당한 진전을 이루 었으나, 고위직 여성 비율, 전투 분야 참여, 성희롱·성폭력 문제, 일-가정 양립 지원 체계 미흡 등 여전 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군의 여성인력 활용 정책에 대한 시 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단순한 제도적 변화를 넘어 조직 문화의 근본적 인 변화,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리더십의 강력한 의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군의 전투력 향상과 조직 혁 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과제임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military women personnel policies in the Five Eyes Alliance countries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and South Korea. It examines the proportion of women in each country's military, key policies, achievements, and ongoing challenges, particularly evaluating policy effectiveness in terms of expanding women's role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The Five Eyes countries have opened all military positions to women and expanded female participation through active recruitment strategies and support programs.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se militaries has reached 11-17%, with increasing cases of women in high-ranking positions. South Korea has also made significant progress, increasing its female military personnel ratio to 8.8% as of 2021 and expanding their roles. However, challenges remain, including low representation of women in high-ranking positions, limited participation in combat roles, issues of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 and inadequate work-family balance support system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derive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military women personnel policies and suggests future policy directions. It emphasizes the need for fundamental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and strong leadership commitment, beyond mere institutional chang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n approach that considers South Korea's sociocultural context, presenting this as a crucial task that can ultimately lead to enhanced military combat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참고문헌 (0)
- 이전논문디지털 전환시대 한국군 부사관 제도의 발전과정과 혁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novation Measures of the ROK Military NCO System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2025.01
- 다음논문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극한 환경에서의 군사용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합 시스템 접근법 연구 An Integrated Systems Approach for Military UAV Operations in Extreme Environments 202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