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CS International Institute of Convergence Study
다양한 학제간 융복합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학문을
연구합니다
ENTRA
논문검색 Library

학술지 논문검색

저널명
글로벌 융복합(Journal of Global Convergence)
창간연도
2024년 1월
ISSN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수록권호
제2권 1호 (통권 5호)
발행일
2025.01
수록논문
17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발행기간
2024.01 ~ 2025.01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4 volumes
총 논문 수
46 articles

키워드

무인항공시스템, 군사전략, 합동성, 군 구조개편, 대드론 방어체계
Small Drones,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Integrated Air Defense Network, Anti-drone System, Multi-sensor Fusion

초록

본 연구는 급증하는 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한민국 군의 전략적 방향성 과 조직 개편 방안을 고찰하였다. 최근 드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군사적 위협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군의 현행 대응체계는 기술적・조직적・법제도적 측면에서 여러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UAS 운용 및 대응 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각 군의 분산된 드론 관련 기능을 통합하여 합동성을 강화하 고, 민간 영역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구체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organizational reform measures of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 in response to increas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drone technology and growing military threats utilizing such systems, the current response system of our military reveals various limitations in technical, organizational, and legal-institutional aspec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UAS operation and response strategi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our military’s development. Specifically, it proposes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joint operations by integrating dispersed drone-related functions across different service branches, establishing cooperation systems with the civilian sector, and refining relevant legal frameworks.

참고문헌 (0)

전체 논문 수 100 /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학술지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