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드론에 의한 국가 주요 기반시설 보안 위협과 통합 대응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Threats to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by Small Drones and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저자
이광재
수록페이지
p.162-172 (11pages)
조회수
12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1호 (통권 5호)
- 발행일
- 2025.01
- 수록논문
- 17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1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4 volumes
- 총 논문 수
- 46 articles

키워드
소형 드론, 국가중요시설, 통합 방공망, 안티드론 시스템, 다중 센서 융합Small Drones,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Integrated Air Defense Network, Anti-drone System, Multi-sensor Fusion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형 드론을 이용한 국가중요시설 침투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 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방공망이 대형 항공기나 미사일 위협에 중점을 두고 있어 저고도・저속으로 비행하는 소형 드론 대응에 구조적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주국제공 항, 부산항 미 항공모함, 국가정보원 청사 등에서 발생한 최근 드론 침투 사례들을 통해 현행 보안체계 의 취약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중 센서 융합 플랫폼, 무인・반무인 요격체계, 법제도적 보완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통합 안티드론 대응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소형 드론으 로 인한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nalyzes recent cases of small drone infiltration into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and presents an effective integrated response system. We identified structural limitations in existing air defense networks, which primarily focus on large aircraft and missile threats, in responding to small drones flying at low altitudes and speed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recent drone infiltration cases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US aircraft carrier in Busan Port, and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headquarters, we examined vulnerabilities in current security system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an integrated anti-drone response system that organically combines multi-sensor fusion platforms, unmanned and semi-unmanned intercept systems, and legal framework improve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to address new security threats posed by small drones.
참고문헌 (0)
- 이전논문디지털 전환시대 한국군 부사관 제도의 발전과정과 혁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novation Measures of the ROK Military NCO System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2025.01
- 다음논문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무인항공시스템(UAS) 위협 대응을 위한 군 구조 개편 및 전략 발전 방향 연구 A Study on Military Structure Reform and Strategic Development for Counter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Threats 2025.01